올뉴모닝 아이소픽스 브라켓 설치 – 1열(조수석) ISOFIX브라켓

올뉴모닝 아이소픽스 브라켓 설치-1열(조수석)  ISOFIX브라켓 – 팜넷

ISOFIX (아이소픽스) 는 ISO (국제표준화기구) 에서 지정한 유아용카시트 고정(FIX) 장치의 규격 – ISO 13216

ISOFIX 는 차량용 안전벨트로 유아용카시트 를 고정하는 대안으로

좌석 상단 부착장치 1개(TOP TETHERS) 와

좌석 하단 부착장치 2개(LOW ANCHORS) 로 구성되어

합산중량(카시트 와 어린이) 33KG 을 확보하게 설계죄었습니다.

*유아용카시트 와 차량 각각 ISOFIX (아이소픽스) 가 적용되어야

결합(설치)이 가능하며

ISOFIX형 카시트는

개방형 클립방식(래치벨트,테더벨트) 과 빌트인방식(레그타입) 등이 있으며

각 브랜드별 호칭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유아용카시트 의 형태는

미국식 과 유럽식 형태로 나뉠수 있는데

최근 그 복합형태의 카시트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형태에는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ISO 에서 지정한 FIX 규격에 맞춰 제작됩니다.

유아용 카시트 설치의 중요성은 말 안해도 다~~~들 알고 계시잖아요?!

앞좌석에도 ISOFIX (아이소픽스) 설치가 가능한가?

현대 캐스퍼(일부트림)

아우디 A6(일부트림)

포드 익스블로러(일부트림) 등

앞좌석에 ISOFIX가 적용된 차량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차량은 ISOFIX가 미적용되어 있습니다.

미적용 차량의 경우 팜넷 아이소픽스브라켓 B타입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합니다.

 

브라켓의 구분은 차량의 차체 구조및 시트의 형상에 따라 나뉘고

일반적인 승용 1열(앞좌석) 의 시트구조는 B타입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합니다.

*팜넷 ISOFIX브라켓 은 국내설계 및 생산으로 차종에 맞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형태는 A,B,C,SM등으로 구분되지만

내부적으로 차종에 맞춰 총 7종의 브라켓이 있습니다.

주문시 꼭 차종과 설치 좌석을 함께 알려주세요

 

올뉴모닝 1열(조수석) 아이소픽스브라켓 설치

올뉴모닝

아이소픽스브라켓 장착 포스팅 입니다.

 

모닝은 긴말이 필요없는

국내 최고인기인 경차입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뿐 아니라 여성분들에게도 인기가 높은 차종이기에

자녀를 둔 여성운전자분들에게

아이 케어를 위해 1열(앞좌석) ISOFIX 설치 문의가 많습니다.

1열(조수석) 은 ISOFIX가 없는 차종으로

카시트 설치를 위해 ISOFIX브라켓 설치가 필요합니다.

 

앞좌석 ISOFIX브라켓 설치준비

팜넷 아이소픽스브라켓B타입 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합니다.

별도의 공구는 필요치 않으며

브라켓B타입만 있으면

남녀 누구나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우선 1열(조수석) 시트 뒷편

브라켓의 설치될 위치를 확인해주세요

설치를 위해

시트 후면 하단 부직포 커버를 제거해줘야 합니다 .

사진과 같이 손을 시트 밑으로 넣어보면

좌우 1개씩 고무줄이 만지키며 그 끝 간단한 고리형태의 클립으로 걸려있습니다.

시트의 앞방향으로 클립을 밀어 간단히 분리 가능합니다.

간단한 고리구조의 클립 ^^

부직포 커버를 위로 올리면 시트 후면은 사진과 같습니다.

가운데 노란선은 열선시트의 전선입니다.

열선배선 측면으로 브라켓을 밀어넣어 주세요

배선과 간섭이 없는지 확인후

브라켓을 시트 중앙에 위치시켜주세요

이후 시트 앞쪽으로 이동하여

시트틈으로 브라켓의 위치를 확인

브라켓이 뒤로 밀리지 않게 한손으로 시트 후면의 브라켓이 빠지지 않게

잡아준상태로 앞쪽에 가이드를 채결해주면 됩니다.

가이드는 밑에서 위로 걸어서 끼우는 형태로

브라켓 좌,우 걸어주면 설치끝

혹 가이드 채결이 어렵다면

등판시트의 각도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기울이며 설치해보시면

조금 더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설치 완료후 시트 후면 부직포 커버 원상복귀 시키면 설치끝

 


올뉴모닝 2열 은 isofix 가 기본적용된 차종입니다.

2열 엉덩이판 후면을 보면 isofix 마크가 있고

조금은 특이하게 시트 측면 봉제선을 벌리면

isofix 가 있습니다.

 

 


기아자동차 모닝

경형 해치백 비스토의 후속으로

2004년부터 동희오토에서 생산하고 기아에서 판매하는 경형 승용차 입니다.

경차기준이 800cc 이던 시절 1000cc 배기량으로 소형차로 분류되어

큰 인기를 끌지는 못하였으나

2008년 경차의 배기량 기준이 800cc ~> 1000cc 로 변경됨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였다.

당시 중고차 가격이 신차가격을 앞지르는 기현상까지 발생했었으며

기존 경차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던 마티즈와 본격적으로 경쟁하기 시작하였다

  • 1세대 (SA 2004 ~ 2010. 2008년 F/L)

  • 2세대 (TA 2011 ~ 2017. 2015년 F/L)

  • 3세대 (JA 2017 ~ 현재 2020년 1차 F/L, 2023년 2차 F/L)

현대자동차의 클릭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A세그먼트 유럽형 경차로

수출명은 피칸토 이다.

(유럽 A세그먼트 승용차들 배기량이 보통 1000cc)

*동희오토는 기아 와 동희홀딩스 의 합작회사로

기아자동차 모닝,레이,니로플러스 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차량의 기본 파워트레인은

직열 4기통(입실론엔진) 999cc 엔진 – > 3기통(카파 엔진)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일부 CVT

​이 적용되어 판매가 되고 있는데 

다른 차량들의 파워트레인의 변화를 생각하면

20년간 거의 변화가 없음에 아쉬움이 매우 큰 사항이기도 하다

(LPG,TURBO등의 파워트레인 적용시도는 있었으나 가격및 출력등의 이유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모닝(SA)

경차나 소형차들에 본격적인 원가절감이 들어가기 이전에 출시된 차량이라 옵션이 당시 동급 차종들에 비해 많은편이었다.

기본적으로 소형차인 현대 클릭의 플랫폼을 공유하여 나온 차이다보니 경쟁 모델인 뉴 마티즈 대비 넓은 실내와 안정적인 승차감, 뉴 마티즈 보다 더 나은 충돌안전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최상위 트림인 SLX 가 아닌 중형급인 LX 모델부터 1열 열선시트를 운전석/동승석 모두 장착가능했고, 자외선 차단 앞유리 역시 가장 많은 수요가 있던 중간 트림인 LX 기본라인부터 적용해 주었다.

또한 열선내장 전동조절식 아웃사이드미러 역시 최하트림이 아니고서는 정부 장착이 가능했다.

대부분의 경차들이 중고차 감가율이 낮은 편이지만 특히 1세대 모닝의 경우 당시 경쟁하던 올 뉴 마티즈 대비 몸값이 비싸다.

페이스리프트 전에는 소형차로 분류됐기에 판매량이 낮아 상대적으로 잔존개체가 적어 희소성도 있거니와, 상술되어있든 출고당시 옵션 역시 마티즈에 비해 출중한 편이기 때문인 듯 하다.

애프터마켓 편의용품도 훨씬 많이 돌아다니는 마티즈보다 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원가절감이 심해진 후기형보다 전기형이 훨씬 만듦새가 좋고 감가 방어도 잘 됐다.

미션오일 관리에 신경써야 하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페이스리프트 이전 연식이 더 좋은 평가다.

현대파워텍의 A4CF0 자동변속기가 적용되기 전인 전기형의 경우, 미션오일을 아무거나 넣으면 안되는 이슈가 있었다.

2008년 F/L

이후 원가절감내역

  • 언더 스트럿바 제거. 초기 DIY 가능했으나 이후 나사 구멍도 없어짐
  • 엔진격벽 차음커버 제거
  • 고정형 손잡이로 변경
  • 트렁크 정리함 삭제
  • 고무패달 적용
  • 썬바이저 거울 제거
  • 후드 이물질 및 물침투 방지 고무 스트렙 제거
  • 흡기구 제거
  • 헤드라이트 재질 변경
  • 머플러 방열판 제거
  • 브레이크 허브 코팅제거
  • 뒷유리 윈도우 조명 제거
  • 도어몰딩 크롬제거
  • 글로브 박스 조명제거
  • 이모빌라이저 제거(도난방지)
  • 뒷좌석 매트길이 짧아짐
  • 조수석 매트고리 제거
  • 루프안테나 고정형으로 교체
  • 부분가죽시트적용
  • 도어트림 직물적용
  • 에어컨필터 단순 거름망필터로 교체
  • 그외 하위트림은 계기판 RPM게이지 삭제및 무도색범퍼적용
  • 하위트림 뒷유리 와이퍼,안개등 삭제
  • 휠커버 삭제

모닝(TA)

기존 4기통 입실론 엔진에서 3기통 카파 엔진으로 변경되어 기존대비 출력이 상승하였다.

또한 터보(106마력)를 적용한 모델도 출시

경차 최초로 스마트키, 열선 스티어링휠, 스위치 타입 전동접이식 미러, 원터치 썬루프 등

기존 준중형 이상에서 볼수 있던 옵션을 대거 장착

경차 최초 6 에어백 적용(상용밴 제외)

전트림 ABS 기본적용

다만 옵션을 많이 적용한만큼 가격상승폭더 컸기에

당시 소형차 가격과 비슷해 많은 원성을 받기도 했다.

 

지금은 LPG승용차를 아무나 구매할수 있었지만 그당시 LPG승용차는 장애인,국가유공자,영업용 으로만 운행이 가능했는데

일반인 구매가능한 LPG 모델을 출시 또한 2011년 바이퓨얼(LPG+가솔린) , 터보등을 출시하는며 파워트레인의 다양화를

시도하였으나 가격및 연비,고장이슈 등으로 큰 인기를 끌지는 못했다.

 

올뉴모닝 까지는 내비게이션 옵션을 적용하면 CD플레이어가 적용된다.

블루투스및 USB가 대중화되며 CD플레이어의 사용빈도가 줄어들며

빠르게 삭제되었다.(원가절감)

 

모닝(JA)

차체 강성을 기존 2세대 모닝(TA)대비 많이 개선하였다고 한다

초고장력 강판 비율을 44.3% 적용 및 핫스탬핑 공법을 적용하고 개선된 구조용 접착제를 적용하여

차체강성 17%를 향상 시켰다고 한다.

경쟁모델인 넥스트 스파크 대비 고장력강판 비율이 더 높게 적용되었던 것이다.

경차 최초로 토크백터링 시스템이 적용되어  코너링시 안정성이 더 좋아졌다.

2018년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 에 모닝 챌린지 가 추가되었다.

(1.0 N/A 5단 수동변속기)

 

1차 F/L 이후

차로유지보조(LFA), 후측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4.2인치 LCD 계기판, 운전석 통풍시트 가 적용되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 시스템도 차량/보행자 둘다 인식할수 있도록 범위가 넓어진것으로 무선 업데이트(OTA)를 지원하는 8인치 네비게이션도 옵션으로 적용가능하다

옵션이 추가된만큼 가격도 크게 상승하여 경쟁차종인 스파크 대비 가격이 비싸졌으며

모든 옵션을 적용시 준중형 모델과 가격이 겹치기도 했다.

 

2차 F/L 이후

경차 최초 3구 MFR타입 풀 LED헤드램프, 센터 포지셔닝 램프 채택

공식적인 충돌 테스트 결과가 나오진 않았으나 1차 F/L 대비 안전성이 개선되었을것으로 기대

플렛폼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서브프레임의 구조가 H형에서 #형으로 변경되었고, B필러 차체 구조물에 핫스템핑 강판이 추가 보강되어

충돌사고시 충격 흡수에 더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