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져HG ISOFIX(아이소픽스)브라켓 설치 포스팅
ISOFIX (아이소픽스) 란?
ISOFIX (아이소픽스) 는 ISO (국제표준화기구) 에서 지정한 유아용카시트 고정(FIX) 장치의 규격 – ISO 13216
ISOFIX 는 차량용 안전벨트로 유아용카시트 를 고정하는 대안으로
좌석 상단 부착장치 1개(TOP TETHERS) 와
좌석 하단 부착장치 2개(LOW ANCHORS) 로 구성되어
합산중량(카시트 와 어린이) 33KG 을 확보하게 설계죄었습니다.
*유아용카시트 와 차량 각각 ISOFIX (아이소픽스) 가 적용되어야
결합(설치)이 가능하며
ISOFIX형 카시트는
개방형 클립방식(래치벨트,테더벨트) 과 빌트인방식(레그타입) 등이 있으며
각 브랜드별 호칭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유아용카시트 의 형태는
미국식 과 유럽식 형태로 나뉠수 있는데
최근 그 복합형태의 카시트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형태에는 차이가 있을수 있으나 ISO 에서 지정한 FIX 규격에 맞춰 제작됩니다.
유아용 카시트 설치의 중요성은 말 안해도 다~~~들 알고 계시잖아요?!
앞좌석에도 ISOFIX (아이소픽스) 설치가 가능한가?
현대 캐스퍼(일부트림)
아우디 A6(일부트림)
포드 익스블로러(일부트림) 등
앞좌석에 ISOFIX가 적용된 차량도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차량은 ISOFIX가 미적용되어 있습니다.
미적용 차량의 경우 팜넷 아이소픽스브라켓 B타입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합니다.
브라켓의 구분은 차량의 차체 구조및 시트의 형상에 따라 나뉘고
일반적인 승용 1열(앞좌석) 의 시트구조는 B타입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합니다.
*팜넷 ISOFIX브라켓 은 국내설계 및 생산으로 차종에 맞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며
형태는 A,B,C,SM등으로 구분되지만
내부적으로 차종에 맞춰 총 7종의 브라켓이 있습니다.
주문시 꼭 차종과 설치 좌석을 함께 알려주세요
그랜져HG 앞좌석 ISOFIX(아이소픽스) 브라켓 설치
그랜져HG
2011년 ~ 2017년 까지 생산된 차량으로
5세대 그랜져로
세련되고 날렵한 외관 및 넉넉하고 고급스러운 실내로
가장 성공한 그랜져중 하나로 평가되며
일부 부품은 소나타 등과 호환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여
지금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차량입니다.
아이들이 커감에 또는 아이의 케어를 쉽게 하기 위해
앞좌석 ISOFIX설치 문의가 많습니다.
꼭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으니 블로그 끝까지 꼭 읽어주세요.
1 시트 후면 아이소픽스브라켓 과 구성품 및 설치 위치 확인
2 시트 후면 부직포커버 제거, 부직포 커버는 시트 하단으로 손을 넣어 커버끝단을 따라가면
좌,우 1개씩 고무줄끝 간단한 구조의 클립으로 걸어 고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고리를 시트 앞쪽으로 살짝 밀면 빠지는 간단한 구조
3 부직포 커버 제거후 시트 설치위치 확인 – 전동시트,열선시트 배선및 가운데 통풍시트 주름관 확인
*시트 가운데 주름관이 통풍시트의 바람라인, 좌우측 배선은 열선및 전동시트 작동배선
*통풍시트 주름관은 간단하게 밀어 끼우는 형태로 아이소픽스브라켓 설치시 빼거나 살짝 벌려
브라켓과 간섭이 없게끔 쉽게 설치 가능
5 브라켓을 삽입후 시트의 중앙에 위치시켜 줍니다.
* 브라켓의 가운데 홈은 테더벨트용 고리로 앞좌석 테더벨트 사용시 부직포 커버의 가운데를 절개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특히 서포트레그 가 없는 거의 대부분의 주니어카시트의 경우 테더벨트 장착을 적극 추천합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farmnet/products/466393683
6 브라켓 위치 확인후 통풍시트 주름관 조립
* 열선및 전동시트 배선과 간섭이 없게 브라켓 뒤에 위치시켜주세요
7 시트 앞쪽에서 엉덩이판과 등판사이틈으로 브라켓 위치 확인
8 가이드는 밑에서 위로 걸어서 끼우는 형태로 브라켓이 뒤로 빠지지 않게 한손으로 브라켓을 밀며 앞쪽 가이드를 채결하면 쉽게 설치 가능합니다.
가이드는 브라켓의 위치를 확인할뿐 아니라 브라켓이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활을 합니다.
9 브라켓을 흔들어 잘 고정되었는지 확인후
시트 후면 부직포커버를 덮어주면 설치끝
10 설치완료
구매방법 및 주의사항
국내 판매되는 거의 모든 차량에 맞는 브라켓을
한국에서 설계 및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브라켓A
브라켓B
브라켓C
브라켓SM 등
4가지 형태의 브라켓이 판매되고 있으나
차종별 시트별 내부적으로 총 7종의 브라켓이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브라켓이 생길 예정이니
구매시 꼭 차량정보를 입력해주세요.
https://smartstore.naver.com/farmnet/products/723984277
*주의*
1열(앞좌석) 유아용카시트 설치후
사고시 에어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일부 차종은 좌석 무게감지 센서가 있어 그 무게에 따라
에어백의 전개량이 조절되며
일부 차종은 조수석 에어백을 ON/OFF 할수도 있습니다.
차량의 에어백 기능에대해 꼭 차량 메뉴얼 참고하세요
또한 앞좌석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는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정비사 또는 차량관련업종 에 종사하는 분이라도
ISOFIX 가 무엇인지 조차 모르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정비사가 설치 안된다고 진짜 설치 못하는게
아닌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니
설치가 잘 안될시 꼭 판매자에게 연락주세요
010-7675-0799
그랜져 의 역사
그랜져는 1986년 처음 출시한 대형 세단이자 플래그십 모델이다.
그랜져 1세대 2세대 는 미쓰비시 와 공동개발하였다. 미쓰비시 데보네어 2세대 3세대 와 형제모델이다.
공동개발이라고는 하나 차대및 파워트레인등은 모두 미쓰비시에서 개발하였고
현대자동차에서는 내,외관 일부 디자인 설계에 관여한 정도였다. 즉 일명 배지 엔지니어링 이었던 것이다
기술과 경험이 풍부했던 미쓰비시에서 그당시 현대자동차와 공동개발의 형태를 취했던 이유는
일본에서는 대형차가 그다지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판매량을 보장할수 없었고,
그나마 일본 내수 대형차 시장은 토요타 크라운이 사실상 장악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미쓰비시의 데보네어 1세대는 한국진출을 추진하였으나 당시 한국의 규제 때문에 직접 판매할수 없었기에
현대자동차를 끌어들여 공동개발 및 생산 형태를 취하게 된 것이다.
현대자동차에서 개발비의 상당부분을 투자하는 대가로 디자인 에서 일부 영향력을 행사 할수 있었다.
1986년 기준으로 당시 지방 30평대 아파트 가격과 맞먹는 가격으로 1865년 출고가 1,690만원, 1987년 출고가 2,890만원 이었다
1987년 대졸 초봉이 30만원대 였다는걸 감안하면 매우 높은 가격이었음을 알수 있다.
1996년 뉴 그랜져 고급화 모델인 다이너스티 가 출시되면서 , 10년간 그랜저가 차지하고 있던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자리를 다이너스티 에게 내주었는데
다이너스티는 사실상 뉴 그랜져 의 페이스리프트에 지나지 않았다.
이후 플래그십 자리는 에쿠스 에 내주게 되었고
이후 출시된 그랜져XG 는 비록 플래그십은 아니지만 매우큰 인기를 끌었으며
그랜져TG , 그랜져HG, 그랜져IG 등으로 후속이 계속 히트를 치며 지금까지 그 명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
그랜져 (1세대 YFL 1986 ~ 1992)
(나무위키 발췌)
현대자동차 와 미쓰비시 자동차의 첫 합작품으로
1985년 단종된 그라나다의 빈 자리를 이어받아 1986년 출시되었다.
샤시및 파워트레인은 미쓰비시에서 전담하고 현대자동차는 디자인 일부에만 참여함으로써
일종의 배지엔지니어링된 차량으로 해외에서는 미쓰비시 자동차로 인식하는 모델이다.
그랜저 는 당시 강력한 경쟁차종이었던 대우자동차의 로얄살롱 수퍼 를 밀어내고 국내 대형차 시장을 석권하게 되었고
각진 외형 덕분에 각 그랜저라 불리기도 한다.
초창기 MPI 방식의 120마력 2.0L 시리우스 SOHC 엔진이 탑재했으나 이후 배기량과 출력을 올린 130마력 2.4L 모델도 출시하였다.
또한 초기 5단 수동변속기만 있었으나 얼마뒤 국산차 최초로 락업클러치가 적용된 전자제어식 4단 자동변속기 옵션을 선보였다.
1989년 164마력 V6 3.0L SOHC엔진까지 내놓았다. 그간 정부의 에너지 정책의 일환으로 4기통 엔진밖에 사용하지 못했으나
조치가 풀리게 되자 경쟁회사 대비 나름의 노하우를 갖고 있던 현대에게 더 유리하게 작용되었다.
국산차 최초 풀 전자제어 인젝션 방식(MPI) 엔진과 ABS, 차고 조절이 가능한 에어스피링 방식인 ECS 를 선보였다.
(나무위키 발췌)
-
뉴그랜져 (2세대 LX 1992 ~1998)
(나무위키 발췌)
1세대 각그랜저 와 마찬가지로 현대자동차가 미쓰비시 자동차와 합작 개발한 모델로
미쓰비시 에서는 데보네어 3세대 로 판매되었다.
한국에서는 큰 성공을 거둔것에 반해 일본에서는 대형차의 판매가 많지 않으며
그나마도 토요타의 크라운이 대형차 시장을 꽉잡고 있는 상황이라
그랜져 2세대 부터는 디자인 등에 현대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였다.
1992년 현대자동차”뉴그랜져” 라고 출시
L4 2.0L 뉴 시리우스 엔진 과 V6 3.0L 사이클론 엔진 을 탑재
이후 택시 고급화에 발 맞춰 1997년 2.4L 및 3.0L LPG택시 모델도 출시되었다.
각그랜저 라 불리던 1세대 모델과 완전히 다른 곡선형 디자인을 채택하였고
더욱 커진 차체로 인해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하게 되어
국내 시장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Y3 소나타 와 함께 현대자동차의 간판급 모델로 성장
에어백,TCS,전동시트,족동식 사이드 브레이크, 후석 3way에어컨 과 쿨링박스,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뒷좌석 이지 엑세스,CD체인저, 도난방지 시스템등 당시 최첨단 옵션이 대거 투입되었다.
(나무위키 발췌)
-
그랜져XG (XG 3세대 1998 ~ 2005)
(나무위키 발췌)
다이너스티, 에쿠스 가 출시되며
플래그십 세단의 자리를 넘겨준 이후 출시된 그랜져로
사실상 마르샤의 후속이라 불리기도 했다.
미쓰비시와의 협업 없이 현대자동차 독자 개발된 최초의 그랜져로
현대의 이름으로 미국, 유럽등에 수출이 이루어진 모델이다.
하지만 기존 미쓰비시의 영향으로 미쓰비시 기반의 엔진,미션을 썼다.
1998년 V6 2.5L 델타 엔진 과 V6 3.0L 시그마 엔진을 얹은 고급형 세단 라인업으로 출시
1999년 V6 2.0L 델타엔진 , 2001년 택시 및 장애인용 V6 2.7 델타엔진 이 탑재된 LPG 모델 출시
전모델 V6 로 구성된 파워트레인을 내놓음으로써 고급 대형세단의 이미지를 가져가게 되었다
1999년 하반기 편의성을 향상시킨 2000년형 그랜져XG가 출시되었고
2001년 방향지시등, 안개등 색상및 휠 디자인등이 변경된 페이스리프트(F/L)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2년 전면과 후면을 중심으로 부분변경 뉴 그랜져 XG 가 출시되었고 외관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았으나
테일램프 디자인이 L자형으로 바뀌며 디자인 호불호가 나뉘는 이슈도 있었다.
(나무위키 발췌)
답글 남기기